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평균 4.14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a,b 무력감 3.15 3.19 3.38 3.16 3.32 3.26 0.48 n/a 직 무 만 족 환경만족 2.97 3.53 3.34 3.25 3.35 3.32 1.2 n/a 관계만족 3.79 3.45 3.65 3.75 3.71 3.66 1.1 n/a 역할만족 3.63 3.78 3.91 3.92 4.01 3.88 1.04 n/a 리더십 3.73 3.58 3.76 3.76 3.77 3.73 0.43 n/a 안 전 행 동 참여행동 3.55 3.55 3.81 3.99 3.75 3.78 2.43 n/a 순응행동 3.94 3.97 4.16 4.29 4.31 4.16 1.94 n/a ***p
무력감과 환경만족을 제외한 전 항목에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 53 - - 54 - - 55 - 고용불안은 비행시간 40% 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직무특성상실이 4.14로 가장 높 았고, 직무만족은 비행시간 80% 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역할만족이 4.0, 안전행동은 비행시간 80% 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순응행동이 4.3으로 가장 높았다. scheffe test 결과 비행시간 증가, 비행시간 20% 이상 감소와 비행시간 40% 이 상 감소 간 직무특성상실의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비행시간이 증가한 응답자의 평 균은 3.28, 비행시간이 20% 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평균은 3.7692로 비행시간이 40%
고용불안, 직무만족 및 안전행동의 코로나19 전, 후 비교연구모형 제 4 절 상관관계 분석 1.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안전행동 간 상관관계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그리고 안전행동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와 같다. 그 결과, 민간항 공 조종사의 고용불안의 요소 중 직장상실은 환경만족을 제외한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들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직장상실과 리더십의 관계(r=-0.251, p=0.000)에서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환경만족을 제외한 직무만 족의 모든 요인들은 안전행동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리더십과 순응행동 의 관계(r=0.354, p=0.000)에서 가장 높은 정(+)적 ..
제 3 절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연구요인별 비교 1. 기술통계 연구요인별 평균비교를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이전의 순응행동이 4.2로 가장 큰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코로나 이전의 직장상실은 2.25로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고용불안을 구성하는 요인 중 직무특성상실이 1.18 의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안전행동 중 순응행동이 –0.04로 가장 적은 차이를 보 였다. 연구요인별 기술통계 * N= 148 요인 코로나 이후 코로나 이전 평균차이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고용불안 직장상실 3.22 0.72 2.25 1 0.97 직무특성상실 3.8 0.74 2.63 1.2 1.18 무력감 3.26 0.85 2.65 0.89 0.60 직무만족 환경만족 3.32 0.77 3.61 0.7..
설문지의 구성 측정내용 문항 내용 문항 수 문항 번호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고용불안 직장상실 해고위협, 항공업계 분위기, 구조 조정 위협, 조기퇴직 위협, 불확 실한 미래 4 1 ∼ 6 직무특성상실 경력개발 상실, 감봉, 자존심 상 실, 자율성 상실, 자질 상실, 친교 상실 4 7 ∼ 8 무력감 보호막 부족, 명확하지 않은 기대 수준, 권위주의적 환경 3 9 ∼ 11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직무만족 환경만족 작업 환경적 4 1 ∼ 4 관계만족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3 5 ∼ 7 역할만족 직무범위, 역할, 사회적 평판 5 8 ∼ 12 리더십 역할갈등, 리더십, 자율성 4 13 ∼ 16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안전행동 참여행동 안전활동 적극 참여, 동료 안전활동 조력 5 1 ∼ 5 순응행동 규정/절차의 자..
제 3 장 연구문제의 설정과 연구방법 제 1 절 연구문제의 설정 1. 연구진행 본 연구는 연구 목적에 따라 민간항공 조종사의 고용불안에 대한 요인 (직장상 실, 직무특성상실, 무력감)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류하고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 행하였다. 연구 흐름도는 과 같다. 연구내용 조사방법 분석방법 1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고용불안, 직무만족, 안전행동의 변화 확인 설문조사 (오프라인 / 온라인)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분석 2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및 안전행동 간 영향 관계 확인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고용불안, 직무만족 및 안전행동 차이 확인 코로나-..
관련된 사고와 질병의 유무나 빈도로서 측정하여야 할 것 이지만 그 발생확률이 희 박하고, 자료의 수집 자체가 매우 어려워 안전행동이 측정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것 이다(오지은․박종승, 2017). 또한 Griffin & Neal(2000)은 근무자의 안전행동을 안 전순응행동과 안전참여활동 두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제 4절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정의 코로나-19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 로 퍼진,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 다. 이후의 감염 확산세에 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PHEIC)’를 선포했다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
간은 행복을 느낀다고 하여 욕구와 행복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욕구 단 계는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애정과 소속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로 구성된 다. Maslow의 기본욕구 Maslow는 각각의 하위 욕구가 완전히 충족되어야 상위단계의 욕구가 생긴다고 주장하였으며, 각 욕구 단계에서 상위단계가 될수록 만족 정도가 감소하긴 하지만 완전결핍상태는 아니며, 새로운 욕구가 생성되는 것도 하위단계의 욕구가 충족될 때마다 점차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하였다. 구분 Maslow의 기본욕구 생리적 욕구 모든 욕구 중에서 가장 하위의 욕구이다. 배고픔, 목마름, 성적 욕구, 수면 욕구, 운동 욕구, 모성 행동 등이 있다. 주로 신체적인 원인으로부터 추동. 안전욕구 안전, 보호의 욕구이며, 두려움과 불안..
2. 직무만족 구성요소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파레스 등(Farace et al., 1977)에 따르면 먼저 환경적 요인 중 대표적으로는 직무에 따르는 의사소통 요구가 있다. 이는 개개인이 특정 기간 동안 처리해야 할 의사소 통의 빈도와 난이도를 의미한다. 의사소통 과다나 부족을 경험하는 구성원들은 직 무 만족에 영향을 받는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 개인적 요인에는 기분과 정서가 있다. 기분은 정서보다 오래가지만 특정한 원인이 없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지만, 정서는 기 분보다 강도가 강하고, 짧은 시간 지속하며, 분명한 원인이나 대상이 존재한다. Herzberg(1968)은 이 요인 이론으로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 다. 직..
박수영(2011)의 항공사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항공사 종사자의 고용 불안은 궁극적으로 항공승객의 만족과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항공사 종사자의 고용불안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거나 부분 채택되었다. 이 를 통하여 항공사 종사원의 고용불안은 조직의 성과나 조직 친화적인 행동에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공사 종사원의 직장상실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면 직무만족과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모두 감소하고 이직 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2 절 직무만족 1. 직무만족의 정의 직무만족도는 고용자의 기대를 얼마나 잘 충족시키는지와 관련이 있고, 업무 또 는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