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이론적 고찰 제 1 절 고용불안 1. 고용불안의 정의 고용 불안은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 있어서 관심의 쟁점이 되었다. Greenhalgh & Rosenblatt(1984)는 고용불안을 “고용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고용이 지속하기를 희망하는 절망”으로 정의했다. Greenhhalh & Resenblatt (1984)는 고용 의 지속을 위협하는 강도는 개인의 직업이나 직업에 관한 주관적 확률에 의존하거 나 고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에 의존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Davy et al. (1997)과 Rosenblatt & Ruvio (1996)는 고용 불안을 연속성의 기대치로 정의하고 고용 불안이 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관심을 반영한다고 나타냈다. 예를 들어, 승진기 회 상실, ..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많은 민간항공 조종사들은 급격한 근무시간 감소를 겪 어야만 했다. 항상 휴직에 대한 공포를 느끼고 있으며, 세계적인 구조조정과 고용불 안에 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간항공 조종사는 경력유지를 위한 최근 비행경험 이 필수적이다. 이는 항공안전법3)에 명시된 사항으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4)에 의해 최근 90일 이내에 이착륙을 각각 3회 이상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하고 최근 6개 월 이내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5) , 6회 이상의 계기접근6)을 한 경험이 있어야 하는 항목으로 조종사의 기량 유지가 항공안전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비행의 감소로 인해 민간항공 조종사들은 이 요구량을 충족시 키기 힘..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보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양적분석 하였으며, 양 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KHTP(동적-집,나무,사람)의 사전·사후 변화 분석과, 미 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참여자의 회복탄력성의 변화에서 회복탄력성 하위척도와 포토보이스의 설문결과를 연계해서 포토보이스 서술지 및 미술작품을 녹취 촬영한 자료를 통해 감정의 변화 과정으로 질적분석 하였다. 그 결과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