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불안, 직무만족 및 안전행동의 코로나19 전, 후 비교연구모형 제 4 절 상관관계 분석 1.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안전행동 간 상관관계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그리고 안전행동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와 같다. 그 결과, 민간항 공 조종사의 고용불안의 요소 중 직장상실은 환경만족을 제외한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들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직장상실과 리더십의 관계(r=-0.251, p=0.000)에서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환경만족을 제외한 직무만 족의 모든 요인들은 안전행동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리더십과 순응행동 의 관계(r=0.354, p=0.000)에서 가장 높은 정(+)적 ..
제 3 절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연구요인별 비교 1. 기술통계 연구요인별 평균비교를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이전의 순응행동이 4.2로 가장 큰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코로나 이전의 직장상실은 2.25로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고용불안을 구성하는 요인 중 직무특성상실이 1.18 의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안전행동 중 순응행동이 –0.04로 가장 적은 차이를 보 였다. 연구요인별 기술통계 * N= 148 요인 코로나 이후 코로나 이전 평균차이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고용불안 직장상실 3.22 0.72 2.25 1 0.97 직무특성상실 3.8 0.74 2.63 1.2 1.18 무력감 3.26 0.85 2.65 0.89 0.60 직무만족 환경만족 3.32 0.77 3.61 0.7..
설문지의 구성 측정내용 문항 내용 문항 수 문항 번호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고용불안 직장상실 해고위협, 항공업계 분위기, 구조 조정 위협, 조기퇴직 위협, 불확 실한 미래 4 1 ∼ 6 직무특성상실 경력개발 상실, 감봉, 자존심 상 실, 자율성 상실, 자질 상실, 친교 상실 4 7 ∼ 8 무력감 보호막 부족, 명확하지 않은 기대 수준, 권위주의적 환경 3 9 ∼ 11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직무만족 환경만족 작업 환경적 4 1 ∼ 4 관계만족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3 5 ∼ 7 역할만족 직무범위, 역할, 사회적 평판 5 8 ∼ 12 리더십 역할갈등, 리더십, 자율성 4 13 ∼ 16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안전행동 참여행동 안전활동 적극 참여, 동료 안전활동 조력 5 1 ∼ 5 순응행동 규정/절차의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