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비행점수 산정 방식 본 교육기관(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 울진 한국항공전문학교 비행훈련원)은 각 비행훈련 종료 시 담당 교원과 함께 훈련 내용에 대해 분석을 한다. 같은 시간 담 당 비행교원은 비행 후 브리핑을 통해 학생조종사에게 비행 훈련의 성적을 학생조 종사의 PIF(Pilot information file)에 기입하게 되어있다. 성적 표기는 와 같이 1점 매우 잘함, 2점 잘함, 3점 보통, 4점 못함, 5점 매우 못함으로 나타낸다. 비행성적의 산정 방식 * 분석결과는 비행 성적의 보기를 용이토록 와 달리 역산으로 표기함. 3.4 조사대상에 대한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를 위한 분석의 기초로 유효한 설문조사 및 비행 훈련 성적 자료는 최종 21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한..
운항승무원은 제외한다. 기장 1명의 365일 최대 승무시간은 1,000시간이며 최대인 기장 2명과 기장외의 조종사 2명, 항공기관사 2명도 마찬가지로 1,000시간이 최대 승무시간이 된다.33) 운항승무원 연속 28일 및 365일 최대 승무시간 기준34) 제3장 연구 설계 3.1 연구의 목적 및 대상 본 연구는 지정전문교육기관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의 학생조종사와 울진 한국 항공전문학교의 학생조종사를 대상으로 주간(週刊) 비행훈련 주기에 따른 비행 효 과성을 분석한다. 훈련주기에 따른 비행훈련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에 따른 피로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교육과정별, 성별, 연령별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훈련 주기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국내의 학생조종사들에 대한 비행훈련 성과 및 효율..
항공기 엔진이 꺼진 시점까지로 수정되었다.27) 2010년 3월 11일에는 피로관리 신설, 항공당국 및 항공사의 책임 및 역할, 절차 수립 및, 피로위험관리 요건 등 FRMS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개정이 이루어졌다. ICAO는 기존의 피로 관리가 권위적이고 규범적인 규정에 의 한 최대 비행시간 제한, 비행근무시간 제한 및 최소 휴식시간 보장이었으나 단순 히 시간의 절대수치 만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기준 안에서는 무조건 안전하다는 가 정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오랫동안 관행적으로 적용 중인 이러한 규범적인 규정 (Prescriptive regulations)은 최대 비행시간 제한, 비행근무시간 제한 및 최소 휴식 시간 제한이라는 획일적 방법으로 여러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할 뿐 아니라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