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표 Ⅳ-2>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생활적응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 F ⊿R 2 B 표준 오차 베타 공차 VIF Step1 자기존중감 .258 .034 .457 7.577 .000 .757 1.320 F(2,197)=82.737, p<.001 .457 감사성향 .181 .034 .321 5.315 .000 .757 1.320 Step2 자기존중감 .246 .034 .436 7.153 .000 .733 1.365 F(3,196)=57.201, p<.001 감사성향 .201 .035 .356 5.687 .000 .693 1.443 .010 자기존중감*감사성향 .052 .027 .106 1.946 .053 .914 1.094 [그림 2]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그림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감사성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 존중감이 낮을 때보다 자기존중감이 높을 때 더 커졌다. 즉 자기존중감이 낮을 때, 감사성향이 높은 학생들과 감사성향이 낮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점수에 서의 차이보다 자기존중감이 높을 때, 감사성향이 높은 학생들과 감사성향이 낮 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점수에서의 차이가 더 컸다. 감사성향의 –1, 0, 1 점수 각각에 대한 단순기울기 분석 결과 –1일 때 Graient of Simple slope=.194, t=4.338, p<.001, 0일 때 Graient of Simple slope=.246, - 23 - t=7.779, p<.001, 1일 때 Graient of Simple slope=.298, t=6.663, p<.001로 모두 유 의하였다. 주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 모두는 학교생활적응을 유의 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존중감이 1점 증가할 때 학교생활적응은 .246 점 증가하였고, 감사성향이 1점 증가할 때 학교생활적응은 .201점 증가하였다. 3.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달라지 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제시 하였다. 1단계에서는 자기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 교생활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자기존중 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선 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은 모두 표준화점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 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방식과 소극적 대처방식으로 분리하여 분 석하였다. 1) 적극적 대처방식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 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계와 2단계 회귀모형은 모두 유의하였다. 1단 계 모형은 학교생활적응의 전체 변량의 40.2%를 설명하였고, 상호작용항이 포함 된 2단계 모형은 학교생활적응 변량의 0.2%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설명 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368). 자기존중감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 는 변인이었고 자기존중감이 1점 증가할 때 학교생활적응은 .325점 증가하고, 적 극적 대처방식이 1점 증가할 때 학교생활적응은 .088점 증가하였다. - 24 - <표 Ⅳ-3>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 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생활적응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 F ⊿R 2 B 표준 오차 베타 공차 VIF Step1 자기존중감 .327 .032 .580 10.260 .000 .950 1.053 F(2,197)=66.195, p<.001 .402 적극적 대처방식 .088 .032 .157 2.773 .006 .950 1.053 Step2 자기존중감 .325 .032 .577 10.182 .000 .946 1.057 F(3,196)=44.360, p<.001 적극적대처방식 .088 .032 .156 2.766 .006 .950 1.053 .002 자기존중감*적극적대처방식 -.026 .029 -.050 -.903 .368 .996 1.004 2) 소극적 대처방식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소극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 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계와 2단계 회귀모형은 모두 유의하였다. 1단 계 모형은 학교생활적응의 전체 변량의 38.9%를 설명하였고, 상호작용항이 포함 된 2단계 모형은 학교생활적응 변량의 0.1%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설명 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517). 자기존중감과 소극적 대처방식의 주 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존중감만이 학교 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고 자기존중감이 1점 증가할 때 학교생 활적응은 .349점 증가하였다. 그러나 소극적 대처방식과 자기존중감과 소극적 대 처방식의 상호작용 항은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 25 - <표 Ⅳ-4>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소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 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생활적응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 F ⊿R 2 B 표준 오차 베타 공차 VIF Step1 자기존중감 .348 .031 .617 11.070 .000 1.000 1.000 F(2,197)=62.703, p<.001 .389 소극적 대처방식 .058 .031 .102 1.830 .069 1.000 1.000 Step2 자기존중감 .349 .032 .619 11.073 .000 .996 1.005 F(3,196)=41.820, p<.001 소극적대처방식 .055 .032 .098 1.736 .084 .985 1.015 .001 자기존중감*소극적대처방식 -.020 .030 -.037 -.649 .517 .981 1.019 4. 자기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자기존중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감사성향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제시하 였다. 1단계에서는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심리적 안녕감 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자기존중감과 감사 성향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은 모두 표준화점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1단계와 2단계 회귀모형은 모두 유의하였으며 1단계 모형은 심리적 안녕감 전 체 변량의 63.3%를 설명하였고, 상호작용항이 포함된 2단계 모형은 심리적 안녕 감 변량의 2.5%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1).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의 상호작용 효과의 양 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이를 [그림 3]에 제시하였다. - 26 - <표 Ⅳ-5> 자기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심리적 안녕감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 F ⊿R 2 B 표준 오차 베타 공차 VIF Step1 자기존중감 .439 .032 .680 13.713 .000 .757 1.320 F(2,197)=169.803, p<.001 .633 감사성향 .127 .032 .196 3.960 .000 .757 1.320 Step2 자기존중감 .418 .032 .647 13.250 .000 .733 1.365 F(3,196)=125.434, p<.001 감사성향 .162 .032 .251 5.007 .000 .693 1.443 .025 자기존중감*감사성향 .092 .025 .164 3.756 .000 .914 1.094 [그림 3]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그림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 존중감이 낮을 때보다 자기존중감이 높을 때 더 커졌다. 즉 자기존중감이 낮을 때, 감사성향이 높은 학생들과 감사성향이 낮은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점수에 서의 차이보다 자기존중감이 높을 때, 감사성향이 높은 학생들과 감사성향이 낮 은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점수에서의 차이가 더 컸다.
'걷다, 나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회피와 위협 부인 그리고 인지적 시도 (0) | 2021.10.25 |
---|---|
단순기울기 분석과 심리적 안녕감 예측 (0) | 2021.10.25 |
내적합치도 번안 척도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0) | 2021.10.25 |
효과적인 평정상태 유지와 정서지향적 방식 (0) | 2021.10.25 |
감사에 대한 규정과 인간의 독특한 정서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