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표 Ⅲ-1> 연구대상자의 학교생활만족과 성적 및 종교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성적 빈도 % 종교 빈도 % 상 29 14.5 기독교 46 23.0 불교 8 4.0 상-중 40 20.0 천주교 6 3.0 중 57 28.5 종교 없음 132 66.0 중-하 60 30.0 기타 6 3.0 하 14 7.0 무응답 2 1.0 합계 200 100.0 합계 200 100.0 3. 연구도구 1) 자기존중감 자기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1979)의 자기존중감 검사가 사용되 었다. 전체적 자기존중감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 검사는 “나는 내가 많은 좋은 특성들을 지니고 있다고 느낀다,” “나는 내 자신에 만족한다”와 같은 20개의 문항을 포함한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척도상에 응답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높은 점수는 높은 자기존중감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내적 일관성 계수로 산출한 신뢰도는 Cronbach α=.796이었다. 2) 학교생활적응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설문지는 이숙주(2000)와 조영미(1999)의 학교생활적응 척 도를 근거로하여 김아영(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 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학교생활의 교사관계 7문 항, 교육관계 8문항, 학교수업 7문항, 학교규칙 8문항으로 총 38문항으로 구성되 었다. 설문지의 척도구성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설문 지의 Cronbach’s α=.949이었다. - 19 - 3) 심리적 안녕감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는 6개의 하위요인 54문항(자기수용 8문항, 긍정적 대인관계 7문항, 자율성 8문항, 환경통제력 8문항, 삶의 목적 7문항, 개인적 성장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요인분석하여 46문항으로 선별한 척 도를 사용하였다. 내적합치도는 Cronbach α=.938이었다. 4) 감사성향 감사성향 척도는 McCullough 등(2002)이 개발하고 권선중 등(2006)이 번안한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총 6문항이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그렇다’ 7점까지 7점 척도의 감사성향 척도(Gratitude Quewstionnare-6: GQ-6)를 노지혜, 이민규(2005)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내적합치도는 Cronbach α=.916이었다. 5)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란 스트레스 즉, 개인이 가진 자원을 초과하여 개인의 안 녕상태를 위협한다고 평가되는 개인과 환경 간의 관계를 다루어 가려는 노력이 다(Folkman & Lazarus, 1984). 본 연구에서는 김정희, 이장호(1985)가 사용한 27 문항의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내적합치도는 Cronbach α=.903이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자료는 SPSS PC+ WIN.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활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자기존중감과 감 사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20 - Ⅳ. 연구결과 1.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 녕감의 상관관계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 감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제시 하였다. 각 변인들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아[자기존중감: t(198)=.363, p=.717, 감사성향: t(198)=1.649, p=.101, 적극적 대처방식: t(198)=1.872, p=.063, 소극 적 대처방식: t(198)=1.504, p=.134, 학교생활적응: t(198)=.457, p=.648, 심리적 안녕감: t(198)=.733, p=.464],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분석하였다.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자기존중감은 감사성향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 식, 학교생활만족 및 심리적 안녕감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감사성 향은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 교생활적응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감사성향도 더 높았으며,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더 높은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을 지니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더 높은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을 지니고 있었다. 한 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 시 많이 사용하였고, 더 높은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을 지니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높은 학교생활적응을 지니고있는 학생들이 더 높은 심리적 안녕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극적 대처방식은 적극 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외에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 모두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21 - <표 Ⅳ-1>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N=200) 자기존중감 감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생활적응 M SD 적극적 소극적 자기존중감 3.58 0.79 감사성향 .493*** 5.46 1.03 스트레스 대처방식 적극적 .224*** .231*** 2.64 0.54 소극적 -.013 .086 .679*** 2.66 0.48 학교생활적응 .615*** .546*** .287*** .094 3.49 0.56 심리적 안녕감 .777*** .531*** .249*** -.094 .674*** 3.91 0.65 *p<.05, **p<.01, ***p<.001 2.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가 감사성향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를 규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 다. 1단계에서는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 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하여 독립변인은 모두 표준화점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1단계와 2단계 회귀모형은 모두 유의하였으며 1단계 모형은 학교생활적응의 전체 변량의 45.7%를 설명하였고, 상호작용항이 포함된 2단계 모형은 학교생활 적응 변량의 1%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53). 자기존중감과 감사성향의 상호작용 효과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 여 이를 그림 1에 제시하였다.
'걷다, 나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기울기 분석과 심리적 안녕감 예측 (0) | 2021.10.25 |
---|---|
감사성향 조절효과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0) | 2021.10.25 |
효과적인 평정상태 유지와 정서지향적 방식 (0) | 2021.10.25 |
감사에 대한 규정과 인간의 독특한 정서 (0) | 2021.10.25 |
학생들의 조화로운 관계 유지와 만족감 (0)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