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을 변화시키려는 의미까지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강영미, 2000). 학교생활적응이란 학생들이 학교에서 친구, 교사, 학교생활 등의 관계로부터 자신의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면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며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가 만족스러운 상태를 의미한다(박정현, 2000; 하혁 외, 2017.인용). 또는 학생들이 학교가 그들에게 주는 종합적인 영향 속에서 개인의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고 교사 또는 또래 학생 들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여 그러한 관계로부터 만족을 느끼는 상태로 학 교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학교에서의 경험을 통한 사회화과정 이라 할 수 있다(전혜경, 2007). 즉, 학생들이 학교 내의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 의 관계, 학교수업, 학교생활, 학교환경 등으로부터 생겨나는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노력이다(김용래, 2000). 문은식(2002) 학교생활적응을 학교에서의 생활 과 관련이 있는 학업적·사회적·정의적 요구를 합리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학 교환경에의 물리적·심리적 순응, 또는 그 환경을 능동적으로 변화하고 조작하 는 학생의 외현적이고 내재적인 행동이라고 하였다. 청소년시기에 성취해야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과업 중 원만하게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것이야말로 청소년의 주요한 발달 과업 중 하나이기 때문에(김희진 외, 2012), 이 시기에 학교생활적 응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 미한 관계를 갖는데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다(손 보영, 김수정, 박지아, 김양희, 2012). 따라서 청소년기의 학교생활적응의 중요성 을 인지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3. 심리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이론들은 발달시기에 따라 이루어야하는 과업에 도전하 고 이를 완수함으로써 얻게 되는 심리적 건강(psychological health)의 측면을 체 계화하면서 형성되어 왔다(Keyes, Shmotkin, & Ryff, 2002). Ryff(1989)는 Maslow 의 자기실현, Rogers의 완전히 기능하는 개인, Jung의 개성화,Allport의 성숙, Erickson의 기본적 삶의 경향, 그리고 Neugarten의 성격의 변화 등의 심리학적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6개의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6 개의차원은 자기수용성(self acceptance), 긍정적 대인관계(positive relations with - 9 - other), 자율성(autonomy), 환경에 대한 통제력(environmental mastery), 삶의 목 적(purpose inlife), 개인적 성장(personal growth)을 포함한다. 김혜은(2008)의 연구에서는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 차원에 대해 다음과 같 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자기수용성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긍 정적이고 부정적인 점을 포함하는 자기의 다양한 면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며, 과 거의 삶을 긍정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자기수용성이 부족한 사람은 자신 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의 과업에 대해 실망하고 있으며, 자기 자신을 신뢰 하지 못하고 지금의 나와 다른 나가 되기를 원한다. 둘째, 긍정적 대인관계는 타인과 따뜻하고 만족스러우며 신뢰로운 관계를 가 지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 대인관계 능력이 높은 사람은 타인의 복지에 관심 이 있으며, 높은 공감도와 친밀감 등을 느낄 수 있고, 인간관계의 상호교류를 이 해할 수 있다. 반면 긍정적 대인관계가 부족한 사람은 타인과의 밀접하고 신뢰 로운 관계를 맺지 못하며 타인에 대해 온정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것을 어려워하 며, 고립되고 좌절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타협하려 들지 않는다. 셋째, 자율성은 자기 결정적이고, 독립적인 특성을 말한다.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라는 사회적 압력에 저항할 수 있고, 내적으로 행동을 통제하고, 다른 사람의 기준이 아닌 자기 기준에 의해 자신을 평가한다. 자율성이 낮은 사 람은 타인의 기대와 평가에 민감하며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타인의 판 단에 의지한다. 또한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라는 사회적 압력에 동조 한다. 넷째, 환경에 대한 통제력은 환경을 지배하고 관리하는 감각이 있으며 복잡 하게 나열되어 있는 외적 행동 계획을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자기에게 주 어진 기회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줄 알며, 개인적 필요나 가치에 적합한 환경을 선택하거나 적합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환경통제력이 부족한 사람은 일상적인 일들을 다루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즉, 주위환경을 변화 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없다고 느끼며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를 인식하지 못한다. 또한 외부세계에 의해 계속해서 떠밀려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다섯째, 삶의 목적은 삶의 목표와 방향 감각을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과 거와 현재의 삶이 의미 있다고 느끼며 왜 사는지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답을 가지고 있다. 삶의 목적이 부족한 사람은 삶의 방향 감각이 거의 없고, 지나온 - 10 -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며, 앞으로 살아갈 삶의 의미를 부여할 신념이나 태도도 부족하다. 여섯째, 개인적 성장은 계속적으로 발전해 간다고 스스로 느끼는 정도이다. 자 신이 성장하고 발전되어 감을 느끼고 새로운 경험에 대하여 개방적이다.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과 자신의 행 동이 향상되는 것을 경험한다. 또한 자기 자신을 보다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 향으로 변화되어 간다. 하지만 개인적 성장이 부족한 사람은 개인적인 침체에 빠지기 쉽고, 시간에 따라 성장이나 발전을 경험하지 못한다. 삶이 지루하고 재 미없다고 느끼며 새로운 태도나 행동을 발전시킬 수 없다. 심리적 안녕감은 삶에 대한 전반적이고 주관적인 평가인 주관적 안녕감과 달 리 이론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심리적 측면들의 합을 말 한다. 따라서 삶의 질이 높은 사람은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사람으로, 자기를 있 는 그대로 수용하고 긍정적 대인관계를 유지한다. 또한 자신의 행동을 독립적으 로 혹은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있고, 주위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삶의 목적이 있으며,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시키려는 동기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김명소 등,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은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대해 인지적으로 평가하기 에 적절하며(Iwamoto, Liu, 2010), 다양한 부정적 사태에 대한 적응 지표의 중요 한 예측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Joseph, Linley, 2005; 장암미, 안도희 2015). 감사성향: 조절변수 감사는 긍정 심리학의 출현과 함께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나, 문화와 시간을 초월하여 감사의 경험과 표현은 인간의 성격과 사회생활의 근간이 되는 바람직한 측면으로 여겨져 왔다(Emmons & McCullough, 2003). 또한 감사는 여 러 종교에서도 강조되고 있는데, 유태교와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의 사 상에서는 감사를 인간이 보편적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서 매우 중요한 인간 의 경향으로 간주하고 있다(Carman & Streng, 1989). 감사의 어원을 살펴보면 gratitude라는 단어는 grace, graciousness 또는 gratefulness를 의미하는 라틴 어근 gratia에서 파생된 말로써 이 라틴 어근에서 나온 파생어들은 친절(kindness), 관대함(generousness), 선물(gifts), 주고받는 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