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청소년기가 가지고 있는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들의 성장과 적응을 돕기 위한 노력이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청소년 기는 급격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고, 동시에 독립과 책임이 요 구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도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비록 청소년기의 변화가 대부분의 청소년들에게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것이지만 자기 존중감이 높은 청소년들은 이러한 스트레스에 비교적 잘 적응하여 행복감을 느 낄 수 있으나 자기존중감이 낮은 청소년들은 적응하기 어렵고 많은 고통을 경험 할 수도 있다. 자기존중감(self-esteem)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대표할 뿐 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당면하고 있는 심리적․환경적 어려움이나 도전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DuBois & Hirsch, 2000; Lord, Eccles, & McCarthy, 1994). 자기존중감은 행복의 매우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 그 영향력이 확인된 바 있다(김현정, 손정락, 2006; 이희은, 2012; 차경 호, 1999; Campbell, 1981; Diener, 1984). 자기존중감은 청소년의 행복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을 매 개하거나 중재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자기존중감은 청소년 기 전반에 걸쳐 학교적응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정명숙, 이규옥, 2009), 자기존중 감이 높은 청소년은 또래집단의 부당한 압력을 잘 극복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발달과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immerman, Copeland,Shope,& Dielman, 1997). 한편, 자기존중감은 개인의 다양한 적응적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Bandura, Barbaraneelli, Caprara, & Pastorelli(1996)는 자기존 중감이 학교적응 과업을 위한 학습동기, 인지적인 차원, 그리고 학교환경의 요구 라는 세 가지 측면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한 바 있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자기존중감이 - 2 - 높은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았음을 보고하고 있고(신미, 전성희, 유미숙, 2012; 심수정, 2003; 임수경, 이형실, 2007), 자기존중감은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학교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정명숙, 이규옥, 2009). 긍정 적 자기존중감을 지닌 사람은 인간관계에서의 만족도, 친밀감 수준, 타인을 배려 하는 능력, 생산적 수행능력 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분노를 잘 조절하며 반사회 적 행동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Hoyle, Kemis, Leary, & Baldwin,1 999). 자기 존중감이 높은 청소년은 또래집단의 부당한 압력을 잘 극복할 뿐만 아니라 긍정 적인 발달과업을 수행하였고(Zimmerman et al., 1997),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잘 대처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안녕감을 경험하게 된다(Pyszczynski, Greenberg, Solomon, Arndt, & Schimel, 2004). 반면, 자기존중감이 낮은 청소년 들은 부적응적인 성취전략을 사용함으로써,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를 보이며 학 교에서도 부적응하게 된다(Aunola, Stattin, & Nurmi, 2000). 이처럼 자기존중감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 이 당면하고 있는 심리적․환경적 어려움이나 도전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해주 는 역할을 한다(DuBois, Hirsch, 2000; Lord, Eccles, & McCarthy, 1994). 자기존중 감은 개인의 건강한 성장과 성취에 따른 결과물인 동시에, 인간관계와 생산적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행복을 증진하게 된다(Ryan & Deci, 2000). 그러므로 자기존중감이 높은 청소년들은 상급학교 진학이라는 생태학적 변화에 도 보다 잘 대처하며 학업과 교우관계, 정신건강 면에서 긍정적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Deihl, Vicary, & Deike, 1997; Zimmermanetal. 1997). Petersen과 Hamburg(1986)는 청소년 시기의 다양한 변화가 주는 도전들이 일 부 청소년들에게 정서적 어려움과 행동상의 문제를 더욱 취약하게 하는데 영향 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최해림(1986)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스트레 스 근원과 장애는 환경에서 오는 것이 가장 높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현상들 은 학생들에게 있어서 학교생활이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자아확장과 개발을 위 한 시기로 활용되기보다는 힘든 적응과 침체 또는 반항의 시기로 전해지고 있음 을 시사한다. 한편, Greenberg, Siegel과 Leitch(1983)는 유기체 이론에서 개인에게는 다수의 욕구보다 하나의 욕구에 의해 행동이 동기화 된다고 가정하고 이 동기는 자존감 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물론 청소년기는 정체감이나 자존감이 강력하지 못해 - 3 - 도 심리적 성숙과 건강을 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 지만 보통 사람과 비교해서 자존감 향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즉, 청소 년의 높은 자존감은 현실을 보다 더 효과적이고 편안히 지각하며, 타인과 자신 에 대한 수용적 태도와 자발성을 소유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자유와 고독에 대 하여 강한 욕구를 지니고, 환경과 문화에 독립적이며, 자율적이고, 신선하고 신 비한 경험과 광대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공동사회와 사회생활에 흥미를 가지고, 깊은 인간관계와 민주적인 성격을 소유하며, 수단과 목적을 구별 하고, 언제나 유머 감각을 지니며, 무조건적인 환경에 대한 저항력이 있다고 보 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자존감 향상을 방해하는 요소가 곧 스트레스로 해 석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 과정이란 문제를 제거해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있 다. 환언하면, 자기존중감 향상의 발휘는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로부터 비롯될 수 있으리라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스트레스에 대한 객관적 관찰과 현 실적인 평가, 그리고 효과적인 자기통제가 이루어질 때 자기존중감 향상을 방해 하는 요소가 감소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자기존중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를 볼 때 문제해결력에도 자기존중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 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문제 이상에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감사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 식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존중감, 감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 녕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감사성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셋째, 자기존중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감사성향과 스트레스 대 처방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걷다, 나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들의 조화로운 관계 유지와 만족감 (0) | 2021.10.24 |
---|---|
자기 존경의 정도와 학교생활 척도구성 (0) | 2021.10.24 |
조화응답해석의 방진구 적용과 가속도 전달율 (0) | 2021.10.24 |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과 진동 외란 주파수 (0) | 2021.10.24 |
EOTS 플랫폼의 구성과 카메라 모듈 영상 (0)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