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 용어의 정의 1) 자기존중감 자기존중감이란 자기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이며, 자신 스스로를 능력 있고 가 치롭게 여기는 정도로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 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자기 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로 정의된다 (Rosenberg, 1965) 본 연구에서 자기존중감은 Rosenberg의 자기존중감 척도로 측정한 값을 지칭한다. 2) 학교생활적응 학교생활적응(Adapting to school life)은 학교 안에서 학교환경의 요구와 개인 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 있고 조화로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과 환경의 요 구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과정으로(곽수란, 2006; 이경상, 2011; Danielsen, Samdal, Hetland, & Wold, 2009)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한다(문은 식, 2002). 본 논문에서는 학교생활적응의 2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지의 척도구성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3) 심리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이란 개인의 삶의 질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심리적인 측면들의 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이 인생 전반 혹은 인생 전체에 대해 느끼는 행복이 나 만족 정도를 말하며(McDowell & Newll, 1990),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에게 주 어진 역할에 대한 실제적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현재의 긍정적인 정 서 상태를 의미한다(박정희, 2007). 본 논문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의 4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지의 척도구성은 Likert 6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을 의 미한다. - 5 - 4) 감사성향 감사는 다른 사람한테 도움을 받은 후에 느끼는 공감의 정서이며(Lazarus & Lazarus, 1994), 자신에게 이익을 준 특정 대상에 대해 인식하며 느껴지는 정서 로 적응적인 행동 경향성을 가진다(노지혜, 이민규, 2005). 따라서 감사성향은 비 교적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정서특성으로, 긍정적 경험을 하거나 긍정적 결과를 얻은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공헌을 인식하고 고마운 마음으로 반응하는 일반화 된 경향성을 뜻한다(McCullough, Emmoons, & Tsang, 2002). 본 연구에서는 McCullough, Emmoons와 Tsang(2002)이 개발한 감사성향 척도(Gratitude Quewstionnare-6: GQ-6)를 실시하여 산출한 점수를 의미한다. 5)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란 스트레스 즉, 개인이 가진 자원을 초과하여 개인의 안 녕상태를 위협한다고 평가되는 개인과 환경 간의 관계를 다루어 가려는 노력이 다(Folkman & Lazarus, 1984). 본 연구에서는 김정희와 이장호(1985)가 사용한 27문항의 4첨 척도로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 6 -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존중감 자기존중감은 William James가 발전시킨 개념으로, 그 개념이나 정의는 학자 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James(1892)는 자기존중감이란 ‘자신에 대한 가치, 즉 자신의 성취에 대한 과거의 예측과 비교했을 때 현재 자신의 성취수준’이라고 정 의하였다. Gordon(1969)은 자기존중감은 자신의 잠재적 행동과 중요한 타인의 평 가를 반영하는 개인의 평가지향이라고 하였고, Wells Marwell(1976)은 자기애의 형태로 지각되며 자기수용의 과정이고 자신에 대한 유능성이나 능력이라고 하였 다. Coopersmith(1967)는 자기존중감이란 자아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의 판단을 의미하며 자신의 능력․중요성․성공․가치 등에 대하여 스스로 어느 정도 믿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고, Harter(1999)는 자기존중감을 자신의 가치에 대한 전 반적인 평가라고 정의하였다. 자기존중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들 중 오늘날 가장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는 것은, 자기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주관적 평가이며 자기존중감이 높다는 것은 자신을 수용․존중하고 스스로를 가치 있는 인간으로 느끼는 것이라 는 Rosenberg(1965)의 입장이다. 이처럼 자아존중감에는 자신의 특성에 대한 긍 정적, 혹은 부정적인 판단과 평가 및 감정이 포함된다(Mussen et al., 1984). 즉, 자기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평가와 우호적 태도를 의미하 며, 자기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이 가치 있고 유능한 존재라고 생각하며 스 스로에 대해 만족감을 갖는다. Branden(1969)은 자기존중감은 인간의 기본욕구로 서 이 욕구의 충족여부는 생사를 가름 할 정도로 중요한 문제라고 하면서, 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알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기존중감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 였다. Maslow(2009)는 자기존중감을 내적 자기존중감과 외적 자기존중감으로 구 분하였다. 외적 자기존중감은 타인이 나를 소중하게 대해주기 때문에 생기는 것 으로 명성, 존경, 지위, 평판, 위신 그리고 사회적인 성공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나에게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달려있다. 내적 자기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즉 자신은 가치있는 - 7 - 존재이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절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존 중감은 인성의 핵심적인 부분이며, 개인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된다 (Lecky, 1945). 즉 자기존중감은 자신을 귀한 존재로 대해주는 타인과의 상호작 용으로부터 싹트고, 작은 성취나 칭찬 또는 성공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정 신분석 이론에 의하면, 자기존중감은 개인의 동기를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타인 으로부터 존경을 받거나 긍정적 평가를 유지하려는 욕구를 바탕으로 하는 자기 존중감은 개인의 바람직한 행동을 자극하므로 그것은 개인의 심리적 행복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장휘숙, 2008). Brown(1993)은 자기존중감의 유지가 잠재동기로 서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개인의 심리적안녕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Veenhoven(1991)은 자기존중감을 주관적 안녕의 구체적 개념으로 간주하여 자기존중감이 주관적 안 녕과 동격이라고 주장한 바 있으며, 자기존중감은 학업수행, 행복감, 대인관계 만족도 등과도 연관되어 있다. 또한 자기존중감이 낮은 경우 부정적 사건에 더 민감하고 자신을 과소평가하거나 실패할 것이라고 기대하며 목표치를 낮게 설정 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높은 경우 부정적 상황에서도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삶에 대해 진취적인 태도를 보인다. 2. 학교생활적응 학교생활적응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적응의 개념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적응’이란 본래 생물학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 이며 생물의 어떠한 종이 환경의 변화에 순응하려는 과정을 의미하였는데 이것 이 사람에게도 적용되면서 단순히 환경에 적응하는 것, 그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를 종합하여 정의해보면 적응은 인간이 개인 의 생리적·심리적 요구를 합리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물리적·심리적 환경 에 순응하거나 또는 그 환경을 변화하고 조작하려는 외현적이며 내재적인 행동 을 의미하며 그 결과 인간은 자신의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게 되고, 심리·사회·정서적으로 안정감과 만족감을 갖게 된다(문은식, 2002). 쉽게 말하 자면, 적응이란 단순히 환경에 수동적으로 자신을 일치시키는 소극적인 의미가 아니라 개인과 환경의 능동적 관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실정에 맞도록 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