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긍정성의 하위요소별 자아낙관성은 사전(M=24.83)에 비 하여 사후(M=26.50)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고(Z=-2.060, p<.05), 생활만족도는 사전(M=17.83)에 비하여 사후(M=22.00)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으며(Z=-2.232, p<.05), 감사하기는 사전(M=26.50)에 비하여 사후 (M=28.33)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Z=-2.070, p<.05).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긍정성의 하위요소별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 35 - <그림 Ⅳ-8> 긍정성의 하위요소별 사전-사후 효과 즉,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긍정 성과 하위요소별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KHTP(동적-집,나무,사람) 사전·사후 변화 분석결과 다음은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KHTP(동적-집,나무,사람)를 실시한 결과 사전·사후 형식 과 내용 분석에서 심리적인 변화가 있었다. 형식적 부분에서 크기, 구도, 필압, 생 략, 강조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내용적인 부분에서는 성장하는 자아상 또는 현재의 감정을 인식하는 내용으로 변화를 보였다. 사전·사후 KHTP(동적-집,나무,사람) 의 개인별 분석의 내용은 <표 Ⅳ-10>와 같다. - 36 - <표 Ⅳ-10> 사전·사후 KHTP(동적-집,나무,사람) 의 개인별 분석의 내용 대상자 구분 사전 사후 A 김환솔 그림 형식분석 집을 가장 먼저 그렸고 창문에 창살에 덧칠을 하여 타인에 대한 개방감에 불편함이 보여지며 나무의 기둥보다 수관이 약간 큰 것으로 자아의 강도가 약하며 가지가 잘 표현 되 않은 것으로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이 보여진다. 필압이 진해졌고 집의 창살에 덧칠이 사라졌다. 문 앞에 징검다리가 나타난 것으로 조심스러운 개방감이 보여지고 나무의 가자가 나타난 것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변화가 보여지고나 뿌리가 없는 사람 뒤의 나무들로 보아 자신에 대한 안정감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사람의 크기가 커진 것으로 자아의 강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보여진다. 내용분석 푸른 들판근처에 한적한 집이 있고 오후 2쯤 산책을 하고 있다. 날씨는 좋고 바람도 시원하다고 했다. 집앞에 있는 나무는 800살이 넘었으며, 너누 오래 된 나누라고 표현했다. 숲속에 있는 작은 집에서 산책하고 있는 장면으로 나무는 150년 되었으며 여유있게 산책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전체평가 사전검사에서 집의 창문에 덧칠감이 있고 나무의 가지가 잘표현 되 않은 것으로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이 보여졌으나 사후 검사에서 창문의 덧칠감은 사라자고 문앞에 징검다리를 표현하고 나무의 가지들이 보이는 것이 대인관계에서 조심스럽게 다가가는 모습이 보여지나 뿌리가 생략된 나누들로 보아 자신에 대한 안정감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대상자 구분 사전 사후 B 박미연 그림 형식분석 집 앞에 징검다리의 표현으로 사람의 표현이 여자와 남자의 - 37 - 대인간계의 조심성이 보여지며 나무의 뿌리가 생략 된 것으로 자신에 대한 안정감 또는 자신감이 부족해 보이고 가지가 생략되어 있는 것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이 보여진다. 표현이 분명해졌고, 그림의 선이 선명해졌다. 나누에 가지의 표현이 나타났으나, 한그루의 나무에는 여전히 뿌리가 생략되었고 나무에 열매를 표현함으로 인정의 욕구 또는 애정의 욕구가 보여진다. 내용분석 한적한 마을에 있는 집에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고 외출 갔다와서 마당을 가꾸는 모습이라고 표현했다. 4현제중 맏인데 그림에는 부모님과 자신만 있고 다른 형제들은 각자 따로 다른 곳에 있다고 표현했다.집안은 따뜻한 분위기고 나무의 나이는 10살로 부모님으로부터 심이적인 독립이 되지 못한 것으로 보여진다. 숲속에 있는 집에 남편과 아이2명이 살고 있고 분위기는 따뜻하다고 했다.남편과 아이들과 집 주변을 산책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날씨도 화창하고 분위기는 좋은 상태라고 전체평가 사전검사에서 원가족을 표현한 것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는 자신이 꿈꾸는 자신의 가족으로 표현하였다. 부모님에게 의존적인 모습에서 독립하고,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하는 ㅁ 대상자 구분 사전 사후 C 그림 형식분석 핖압이 약한 것으로 자신감이 부족해 보이고,집에는 큰창문이 오픈되어 있는 것으로 개방감이 보여지고,집옆 울타리를 보아 안정감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나무에 열매로 보아 애정 또는 인정의 욕구가 보여진다. 필압이 강해졌고,집은 창문의 개수가 많은 것으로 외부와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진다.나무에는 열매와 꽃으로 표현 된 것이 인정의 욕구와 결실에 대한 소망이 있는 곳으로 보여진다. 내용분석 마을 안에 있는 집에서 가족이 모여서 가족예배를 드리고 있고 숲속과 마을 경계에 있는 집에서 가족들과 바비큐파티를 - 38 - 평화롭고 행족한 모습이라고 표현했다. 신앙에 대한 믿음과 가족에 대한 애정이 보여진다. 하고 있고 숲속을 산책하기도 좋고, 마을에 가서 사람들과 만나기도 좋은 곳이라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표현했다. 가정에 대한 애정과 사회생활 속의 교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 전체평가 전체적으로 인정의 욕구와 안정감의 욕구가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사전검사에서 가족에 대한 개방감에서 사후검사에서는 가정 외의 사회생활 속에서의 소통으로 분산 된 것으로 보여진다. 대상자 구분 사전 사후 D 그림 형식분석 집의 크기가 큰 것으로 가정에대한 욕구가 강하고 아치형 문과 둥근창문으로 여성적인 성향이 보여 진다. 나무 앞의 울타리로 안정감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집 앞의 징검다리의 표현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조심스러움이 보여진다. 집의 크기가 작아지고 집 앞의 텐트 속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표현 하고 집과 연결 되지 않은 길을 표현 함으로써 타인과의 관계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내용분석 결혼 해서 시부모님을 모시고 살 집에서 토마토를 따고 꽃꽂이를 하고 있는 모습이고 즐겁다라고 표현함으로 결혼을 생각하고 결혼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고기를 구워 먹고 혼자 텐트에 누어서 쉬고 있는 모습이라고 표현함으로써 혼자만의 시간을 작고자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전체평가 여성적이고, 안정적인 가정에 대한 욕구가 보여졌으나 사후 검사에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심경의 변화가 보여지며, 자신만의 세계를 갖고자 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