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살펴보았다. KHTP그림검사의 실시방법은 A4용지, 4B연필, 지우개를 준비하고, 다 음과 같은 제시어에 의해 그림을 그리도록 한다. “여기에 집, 나무, 사람을 한 장 의 종이에 그려주세요. 여기에서 사람은 무엇인가 행동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주세 요“ 그림을 그리면서 추가로 그리고 싶은 것은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한다. 그림을 모두 완성한 후 여러 가지 질문하고 기록하도록 해서 내담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려진 내용 및 형태 분석에 있어서 집단원이 언어로 표 현한 내용을 기반으로 내용을 분석하고, 표현의 특징, 필압, 스트로크, 상징과 해석 을 기반으로 형식적 분석을 한다. 3) 포토보이스 서술 본 연구자는 PHOTO (Graziano,2004)기법을 연구의 서술지 내용에 적용하여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PHOTO (Graziano,2004)기법은 영문 질문에 포함된 단어 Picture, Happening, Of, Tell, Opportunities의 앞글자를 연결한 것이며,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PHOTO 기범(Graziano,2004) 1. Describe your Picture. 당신의 사진을 설명하시오. 2. What is Happening in your picture? 당신의 사진 속에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3. Why did you take a picture Of this? 당신은 왜 이사진을 촬영했나요? 4. What does this Tell us about your life? 이것이 단신의 삶에 관하여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나요? 5. How can this picture provide Opportunities for us to improve life 이 사진은 우리가 삶을 개선하는 데 어떤 기회를 제공합니까? <표 Ⅲ-6> PHOTO (Graziano,2004)기법 사진을 가지고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문기법들을 다양하게 활용 - 19 - 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high way35 김휘경). 적극적인 자기 탐색을 돕기 위해 ‘질문이 답을 바꾼다’(앤드루소벨, 제럴드 파니스,2012)의 내용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서술지를 작성하였고, 1단계 2, 3회기, 2단계 4, 5회기, 3단계 7회기에 작 성하였다. 1단계‘자신을 표현하고 나타내는 사진’2단계‘ 타인이 보는 내모습과 직업으로 관계된 공간의 속의 나’3단계 ‘행복 & 만족감’으로 1단계 2회, 2단계 2회, 3단계 1회로 집단 미술치료 도입부분에 사진을 통해 이야기 하는 과정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단계 1.사진 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가요? 2. 이 사진을 찍으면서 무슨 생각을 했나요? 3. 이 사진을 보고 보는 사람들은 어떤 것을 알았으면 / 느꼈으면 좋겠나요? 4. 이 사진에 주제 혹은 제목을 붙여 본다면? <표 Ⅲ-7> 포토보이스 서술지 질문내용 (1단계 : 2~3회기) 2단계 4회기 1.당신 인생에서 무엇이 만족감을 주나요? 2.가장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는 무엇이었나요? 3.가장 만족스러운 직업은 무엇이었나요? 4.어떤 경험이 당신 인생에서 큰 영향을 주었나요? 5회기 1.사진 속 장소는 나에게 어떤 의미 인가요? 2.사진 속 장소에서 가장 즐거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3.사진 속 장소에서 만족스러운 마음을 방해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4.지금 이장소에서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표 Ⅲ-8> 포토보이스 서술지 질문내용2단계 :( 4~5회기 ) - 20 - 3단계 1. 사진 속에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2. 사진을 찍거나 고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사진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4. 당신이 그 일이 특별하게 느껴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표 Ⅲ-9> 포토보이스 서술지 질문내용(3단계 : 7회기) 4)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진을 활용한 다른 미술치료 작업과 달리 사진에 대한 자신의 심상을 서술하는 포토보이스 서술지로 미술작업 전 이야 기 나누기 활동으로 자신을 돌아보고, 이어서 집단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자기감정 의 조절과 집단원의 공감과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으로 회복탄력성에 효과 를 주도록 하였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8 회기를 주1~2회, 각 90분씩 1단계(초기)로 자기이해와 탐색 , 2단계(중기)로 대인 관계능력, 3단계(후기)로 긍정과 감사로 총 3단계로 진행하였다. (1) 1단계(초기) 자기이해와 자아탐색 1단계(1회기~3회기)에서의 목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의 탐색을 통해 자기 이해 를 돕는다.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그 감정을 정리하고 나아가 감정의 원인과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한다. (2) 2단계(중기) 대인관계능력과 확장 2단계(4회기~6회기)에서의 목표는 1단계에서 발견한 자아탐색을 기반으로 타인 - 21 - 과의 관계에서 소통의 방법과 공통의 주제를 통해 소통하고 공감하는 경험을 하여, 대인관계능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3) 3단계(후기) 긍정과 감사 3단계(7회기~8회기)에서의 목표는 1, 2단계에서 경험한 자신과 타인의 상호작용 을 기반으로 함께 공유하는 긍정적인 경험나누기와 감사나누기로‘자신’과‘타 인’그리고‘함께’라는 확장개념에서의 긍정적인 지신을 발견하고 긍정적인 미래 를 계획하도록 한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 다. 프로그램 회기별진행과정 <표Ⅲ-10>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프로그램 <표Ⅲ-11>에서 제시하였다. 진행순서 소요시간 구체적인 활동내용 도입 30 인사나누기 포토보이스 서술지 작성 및 이야기나누기 활동 40 포토보이스 서술지에 사용한 사진을 활용한 미술활동 진행 마무리 20 소감 나누기 주변정리 <표 Ⅲ-10> 프로그램 회기별진행과정 <표 Ⅲ-11>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프로그램 단계 회 기 치료목표 활동 주제 활동내용 치료효과 사전 프로그램 소개 (포토보이스미숦치료) 및 사전 검사(회복탄력성척도) 1단계: (초기) 1 자기이해와 자아탐색 ·내안의 숨은 이야기 ·KHTP (동적-집,나누,가람) -투사그림 ·신뢰관계 ·자기탐색 2 ·내생각과 기분이 머무는 곳 ·사진 포스터 3 ·과거의 사건 속으로 ·인생그래프 -사진으로만드는영화 ·감정조절 ·감정표현 2단계: 4 대인관계능력과 ·너에게 전하는 마음 ·선물상자 꾸미기 ·대인관계 - 22 -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 의 사례수가 N=24로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못하여 모집단의 분포와 무관한 비 모수 통계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의 ɑ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집단 간 회복탄력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확인을 위해 Mann 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으로 검증하였다. 넷째, KHTP(동적-집,나무,사람)의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포토 보이스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섯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단계별. 회기별 중 변화과정을 질적으 로 분석하였다.
'걷다, 나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소별 유의미 증가 (0) | 2021.10.23 |
---|---|
사전 동질성 검증과 감정조절력 그리고 충동통제력 (0) | 2021.10.23 |
척도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집단미술치료 (0) | 2021.10.22 |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의 개인성과 영속성 (0) | 2021.10.22 |
자기 자신에 대한 탐색과 외부세계로의 점진적인 주제 (0) | 202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