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건복지부장관이 검정하고 수여하는 국가자격증으로 학력 및 경력기간에 따라 1, 2, 3급으로 구분된다(한국보육진흥원, 2016).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는 보육교사자 격증을 소지하였고, 현재 국공립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의미한다. 3)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사건이나 역경으로부터 다시 되돌아오는 능력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유 연하게 대처하는 힘을 말한다 (Reivich & shattee,2003) 또한 Fletcher & Sarkar(2013)은 심리적 안정감을 방해하는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효과적인 대 처를 통하여 긍정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현상이라고 하였으며, 전 생 애의 맥락에서 발달의 통합이 일어나는 매 순간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시 간에 걸쳐 변화하는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Luthar & Cicchetti, 2000).회복탄력 성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의 실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로 접근한다는 것이 며 이는 자신의 실수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되,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긍정적 인 뇌로 회복탄력성을 높일수 있음을 말한다(김주환, 2011).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 성은 Reivich와 Shatte(2003)의 RQT(The Resilience Quotient Test)에 근거하 한 김주환(2011)의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Korean Resilience Quotient-53)로.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의 3개 요소와 9개의 하위요인의 변화를 측정 한 것이다. - 5 - Ⅱ. 이론적 배경 1. 포토보이스 1) 포토보이스의 개념 및 특징 포토보이스는 연구자가 주제를 정하여 제시하면, 제시된 주제 안에서 참여자들이 소주제를 정하게 된다. 이 때, 참여자들은 특정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사진으 로 찍어서 표현하고 발표한다(Sanon, et, al., 2014; 임정아, 진영선, 조아미, 2017, 재인용, p.114). 인간이 의식을 엮은 공간의 자리에 “무의식으로 엮인‘ 공 간이 들어선다는 것, 사람들은 ”충동의 무의식적 부분을 정신분석을 통해 알게 되 듯이 이러한 시각적 무의식(das Optisch-Unbewufste)의 세계에 관해 사진을 통 해 비로소 알게된다(Wather Benjamin, Gesammelten,Bd.Ⅰ~Ⅶ,Frankfurt a.M.,1972~89).“사진을 통해 사물을 더 깊이 들여다 보았다 나는 내 자신에게서 벗어나는 법을 배웠다(Loria, New Londoneners). 사진을 통해 사물의 본질과 함 께 때로는 무의식적인 메시지를 언어적인 표현 이상으로 시각적으로 나타낼 때가 있다. Wang(1999)은 참여자들이 가지고 온 사진 속 메시지들은 그 의미가 명백하 게 드러나기도 하고, 숨겨져 있기도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사진 속 메시지들을 이 미지가 가르쳐주는 것(images teach)이라고 하였다(임정아 외, 2017). 즉, 포토보이스는 사진과 이야기를 통해 참여자들의 드러내고자 하는 메시지를 찾고 개념화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포토보이스 연구는 사진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자기의 이야기와 감정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법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Dumbrill, 2009; 임정아 외, 2017, 제인용, p.115). 포토보이스의 목표 중에 하나 는 참여자들이 자신만의 용어로 삶의 요소들을 기록하는 것, 즉 사진을 통해 자신 의 이야기를 정리하고 자아성찰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포토보이스의 장점으로는 그림보다 손쉽게 접근가능하며 의미 발견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토보이스는 활용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있다. 예를 들어, 포토보이 스를 활용한 인터뷰,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경험나누기,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프로그 램 개발 등 포토보이스를 사진과 심리학에 접목하는 연구들과 사진과 교육에 접목 - 6 -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연구들을 볼 수 있다. 2) 포토보이스의 단계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단계는 총 8단계 구성으로 다음과 같다. 파악(identification)-모집(invitation)–교육(education)–기록(documentation)-서 술(narration)–관념화(ideation)–발표(presentation)-확증(confirmation), 하지만 위의 8단계에서 연구자의 프로젝트에 따라 변경도 가능하다(high way35.김휘경). Amanda(2017/2018)는 이 중에 처음의 다섯 단계(: 파악, 모집, 교육, 기록,서술) 를 다음의 표와 같이 설명하였다. <표 Ⅱ-1> 포토보이스의 단계 위의 표의 내용을 다시 설명하면, ‘파악 단계’에서는 누가, 어디서 어떠한 목표 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어야 하고,‘모집단계’에서는 의도적 표본수집 절차 에 따라 모집되고 모집단의 성격이 고려되어야 한다.‘교육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의 의도와 고지된 내용에 대한 동의서를 받아야 하며,‘기록’단계에서 연구자는 프롬프트(단서), 즉 연구자가 프롬프트(prompts)를 완전개방형, 일반적인 초점이 주어지는 방법, 각본이 주어지는 방법, 참여자가 각본을 주도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는데 Amanda(2017/2018)가 제시한 예는 다음과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