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4 연령별에 따른 성적 4.4.1 25세 이하(교육과정 1) 25세 이하 &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6>과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12(SD=.33)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1.60(SD=.22)점으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633, p<.001). 따라서, 25세 이하 & 교육과정 1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의 평균성적이 가장 높은 2.12를 나타내고, 1회는 1.91로 큰 차이는 없었다. 주간 3회는 1.73점, 주간 4회 이상의 평균 성적은 1.60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4 1.91 0.16 9.633 (d<c<a,b) 0.000 주간 2회(b) 11 2.12 0.33 주간 3회(c) 8 1.73 0.10 주간 4회 이상(d) 6 1.60 0.22 <표 36> 25세 이하(교육과정 1)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12] 25세 이하(교육과정 1) - 49 - 4.4.2 25세 이하(교육과정 2) 25세 이하 & 교육과정 2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7>과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63(SD=.09)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14(SD=.25)점으로 가 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4.653, p<.001). 따라서, 25세 이하 & 교육과정 2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의 평균성적이 가장 높은 2.63점으로 가장 높았 고, 1회는 2.22점과 4회 이상의 2.14점으로 주간 2회보다 평균성적이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그림 13] 25세 이하(교육과정 2)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6 2.22 0.20 24.653 (a,c<b) 주간 2회(b) 12 2.63 0.09 0.000 주간 4회 이상(c) 18 2.14 0.25 <표 37> 25세 이하(교육과정 2)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 50 - 4.4.3 25세 이하(교육과정 3) 25세 이하 & 교육과정 3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8>과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92(SD=.06)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63(SD=.00)점으로 가 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0.642, p<.001). 따라서, 25세 이하 & 교육과정 3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의 평균성적이 가장 높은 2.92를 나타내고, 1회 는 2.90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주간 3회는 2.81점, 주간 4회 이상의 평균 성적은 2. 63으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2 2.90 0.00 20.642 (d<c<a,b) 0.000 주간 2회(b) 15 2.92 0.06 주간 3회(c) 9 2.81 0.06 주간 4회 이상(d) 2 2.63 0.00 <표 38> 25세 이하(교육과정 3)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14] 25세 이하(교육과정 3) - 51 - 4.4.4 26-30세(교육과정 1) 26-30세 &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9>와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3.01(SD=.08)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3회는 2.49(SD=.52)점으로 가장 낮 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주간 4회 이상은 표본의 대상이 2명인 점과 주간 1회의 집단 역시 1명의 표본대상인 점에 따라 주간 3회의 집단으로 보았을 시 비 행 주기의 증가 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분석결과 주간 4회의 집단은 3 회보다 높은 성적을 받았기에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교육과정 1의 특성상 학생조종사는 비행 환경의 적응이 필요하며, 많은 기초 비행 훈련의 준비가 필요하다. 26-30세의 집단은 25세 이하의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연령대가 낮은 집단일수록 연령대가 높은 집단에 비 해 체력적으로 비행 훈련에 임하고 비행 준비성이 좋아 성적이 높을 것이라는 기 존의 사실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 1 2.55 0.00 1.001 0.418 주간 2회 3 3.01 0.08 주간 3회 14 2.49 0.52 주간 4회 이상 2 2.55 0.05 <표 39> 26-30세(교육과정 1)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15] 26-30세(교육과정 1) - 52 - 4.4.5 26-30세(교육과정 2) 26-30세 & 교육과정 2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40>과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61(SD=.00)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3회는 2.20(SD=.31)점으로 가장 낮 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주간 1회는 2.55점으로 주간 3회의 2.20점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훈련 횟수의 증가에 따라 26-30세 & 교육과정 2의 경우 훈 련 성적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주간 3회의 인원이 타 횟수 집단보다 월등히 많은 점을 보아 비교분석이 어려운 점이 있으나, 평균 성적의 차이가 크기에 통계 상 유의미함을 나타냈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 1 2.55 0.00 주간 2회 2 2.61 0.00 2.093 0.166 주간 3회 12 2.20 0.31 <표 40> 26-30세(교육과정 2)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16] 26-30세(교육과정 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