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3.2 남성(교육과정 2) 남성 학생조종사 교육과정 2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1>과 같다. 주간 2회의 평 균 성적은 2.57(SD=.05)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17(SD=.26)점으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373, p<.001). 따라서, 남성 & 교육과정 2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가 가장 높은 평균 2.57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1회 및 3회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간 4회는 가장 낮은 2.17점으로 사후분 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10 2.36 0.23 9.373 (d<a,c<b) 0.000 주간 2회(b) 8 2.57 0.05 주간 3회(c) 11 2.40 0.18 주간 4회 이상(d) 20 2.17 0.26 <표 31> 남성(교육과정 2)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7] 남성(교육과정 2) - 44 - 4.3.3 남성(교육과정 3) 남성 학생조종사 교육과정 3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2>와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93(SD=.06)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60(SD=.11)점으 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0.187, p<.001). 따라서, 남성 & 교육과정 3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는 주간 2회가 2.93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는 가장 낮은 성적인 2.60점을 받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비행 주기 에서의 평균에 따른 결과 값은 크지 않았다. 이는 교육과정 3의 학생 특성상 개인 별 평균 비행시간이 70시간 이상의 학생이 대다수였으며, 항공기와 비행 환경에 익숙해져있는 학생조종사이기에 많은 비행 훈련에 대한 피로감이 교육과정 1, 2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8 2.87 0.04 40.187 (d<a,c<b) 0.000 주간 2회(b) 23 2.93 0.06 주간 3회(c) 37 2.80 0.11 주간 4회 이상(d) 11 2.60 0.11 <표 32> 남성(교육과정 3)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8] 남성(교육과정 3) - 45 - 4.3.4 여성(교육과정 1) 여성 학생조종사의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3>과 같다. 주간 2회 의 평균 성적은 2.63(SD=.17)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3회는 1.77(SD=.31)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따라서, 여학생 & 교육과정 1의 경우 주 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교육과정 1의 비행 훈련 초기 시작 단계에서는 비행 훈련의 주기가 현저히 적 거나 많음은 큰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비행 훈련이라는 부분에 모두가 낯설고 어려운 부분이 있기에 1회와 4회의 비행주기에서 동등한 훈련성적으로 나타났다. 보다 높은 2회의 집단은 타 주기의 집단보다 높은 훈련성적을 나타냄에 따라 비행 훈련 준비의 시간이 충분하였고, 적절한 비행 훈련을 통해 타 주기의 집단보다 교 육 성적이 높았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2 2.04 0.00 2.775 0.110 주간 2회(b) 3 2.63 0.17 주간 3회(c) 3 1.77 0.31 주간 4회 이상(d) 4 2.05 0.54 <표 33> 여성(교육과정 1)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9] 여성(교육과정 1) - 46 - 4.3.5 여성(교육과정 2) 여성 학생조종사 교육과정 2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4>와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69(SD=.08)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3회는 1.79(SD=.29)점으로 가 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8.037, p<.001). 따라서, 여학생 & 교육과정 2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사후분석 결과는 주간 2회가 2.69점으로 가장 높고, 4회 이상은 2.45점, 주간 3회는 가장 낮은 성적인 1.79점을 받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 만 4회 이상은 표본의 대상이 1명인 점을 볼 때, 신뢰가 낮아 주간 3회의 집단을 분석 결과 1.79점으로 2회의 집단보다 현저하게 점수가 낮음을 볼 수 있기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2회(a) 6 2.69 0.08 8.037 (b<c<a) 주간 3회(b) 3 1.79 0.29 0.000 주간 4회 이상(c) 1 2.45 0.00 <표 34> 여성(교육과정 2)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10] 여성(교육과정 2) - 47 - 4.3.6 여성(교육과정 3) 여성 학생조종사 교육과정 3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5>와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89(SD=.06)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62(SD=.02)점으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8.037, p<.01). 따라서, 여학생 & 교육과정 3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사후분석결과는 주간 2회의 성적이 2.8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간 3회 2. 72점, 주간 4회는 2.6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별에 따른 성별의 비교 결과 남성 교육과정 3의 집단과 여성 교육과정 3의 집단 평균 오차 범위는 0.20점 차이 안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에 교육과정별 성별에 따른 주간 비행 주기 또한 차이가 없어 분석결과 유의 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2회(a) 3 2.89 0.06 8.037 (c<b<a) 주간 3회(b) 10 2.72 0.17 0.007 주간 4회 이상(c) 3 2.62 0.02 <표 35> 여성(교육과정 3)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11] 여성(교육과정 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