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별에서는 남성이 173명(82.0%) 여성 38명 (18.0%)에 비해 매우 많았고, 연령대로는 25세 이하와 26-30세가 각각 93명 (44.1%)으로 가장 많았으며, 31세 이상이 25명(11.8%)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비행과정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3이 95명(45.0%)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과정 2가 59명(28.0%), 교육과정 1은 57명(27.0%)순이었으며, 주간 비행 주기로는 주간 3회가 85명(40.3%)으로 가장 많았고, 주간 2회 58명(27.5%), 주간 4회 이상은 44명 (20.9%), 주간 1회 24명(11.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5세 이하와 26-30세 가 각 93명 (44.1%), 31세 이상 25명(11.8%)이다. <표 26> 조사대상자 특성 구 분 빈도(n) 백분율(%) 비행과정 교육과정1 57명 27.0% 교육과정2 59명 28.0% 교육과정3 95명 45.0% 성별 남성 173명 82.0% 여학생 38명 18.0% 연령 25세 이하 93명 44.1% 26-30세 93명 44.1% 31세 이상 25명 11.8% 주간 비행 주기 주간 1회 24명 11.4% 주간 2회 58명 27.5% 주간 3회 85명 40.3% 주간 4회 이상 44명 20.9% - 39 - 4.2 교육과정별 성적 4.2.1 교육과정 1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 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27>과 같다.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는 가 장 높은 평균성적 2.45로 가장 높고, 주간 1회와 3회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간 4회 이상은 평균성적 1.90으로 가장 낮았으며 사후분석 결과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행 훈 련 초기 단계를 훈련 하는 학생조종사이기에 2D38)에서 3D39)로 전환되는 과정에 충분한 비행 준비 시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비행 훈련 시 피로도를 줄이고 비행 원 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자기 주도적 훈련이 가능하다. 주간 비행주기 4회 이상은 가장 낮은 성적을 나타내는 것은 많은 학생조종사의 피로와 부적응에 따른 교육 효과의 감소로 분석된다. *p<.05 38-39) 2D: 평면에 포함된 위치 지정의 묘사로 2D(2차원)공간이라 함. 3D: 비행기의 위치를 묘사 시 고도라는 변수가 필요하여 비행기의 위치는 3D(3차원)공간이라 함.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6 2.11 0.34 2.937 (d<a,c<b) 0.044 주간 2회(b) 18 2.45 0.50 주간 3회(c) 24 2.26 0.56 주간 4회 이상(d) 9 1.90 0.49 <표 27>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3]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 40 - 4.2.2 교육과정 2 교육과정 2의 집단에서 학생조종사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 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28>과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 2.62(SD=.09)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19(SD=.26)점으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859, p<.001). 따라서, 교 육과정 2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는 가장 높은 평균성적 2.62로 가장 높고, 주간 1회는 2.36점 3회는 2.27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간 4회 이 상은 평균성적 2.19로 가장 낮아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10 2.36 0.23 9.859 (d<a,c<b) 0.000 주간 2회(b) 14 2.62 0.09 주간 3회(c) 14 2.27 0.33 주간 4회 이상(d) 21 2.19 0.26 <표 28> 교육과정 2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그림 4] 교육과정 2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 41 - 4.2.3 교육과정 3 교육과정 3의 집단에서 학생조종사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의 차이를 살 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29>와 같다. 주간 2회의 평균 성적은2.93(SD=.06)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2.61(SD=.09) 점으로 가장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8.710, p<.001). 따라서, 교육과정 3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 주간 2회 및 1회는 주간 3회와 4회보다 높았다. 주간 2 회는 가장 높은 평균성적 2.93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는 가장 낮은 2.61점을 받 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3은 자가용조종사 과정 중 가 장 마지막 단계로 학생조종사 대부분이 비행기와 비행 훈련 환경에 적응되어 있어 주기에 따른 성적의 큰 차이는 없었지만, 학생조종사가 느끼는 비행 훈련 주기에 따라 피로증가로 인한 훈련 성적이 감소함을 분석하였다. ***p<.001 [그림 5] 교육과정 3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주간 1회(a) 8 2.87 0.04 48.710 (d<c<a,b) 0.000 주간 2회(b) 26 2.93 0.06 주간 3회(c) 47 2.78 0.13 주간 4회 이상(d) 14 2.61 0.09 <표 29> 교육과정 3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 - 42 - 4.3 성별에 따른 성적 4.3.1 남성(교육과정 1) 남성 학생조종사 교육과정 1의 주간 비행 주기에 따른 성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0>과 같다. 주간 2회의 평 균 성적은 2.42(SD=.54)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간 4회 이상은 1.78(SD=.48)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따라서, 남성 & 교육과정 1의 경우 주간 비행 주기에 따라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과정 1의 경우 첫 비행 훈련을 시행하는 단계의 학생조종사이기에 비행 주기에 따 른 교육효과의 차이가 4회 이상의 집단에서 크게 나타났다. 많은 비행 주기로 인 한 학생조종사의 피로증가와 비행 준비시간의 부족이 가장 큰 결과였으며, 이는 성적의 분석결과 1회부터 3회까지의 집단보다 월등하게 낮은 성적을 나타내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그림 6] 남성(교육과정 1)

댓글